생활

조직내에서의 프로파일

생활정보모음 2021. 9. 25. 00:58

조직특성 프로파일

학교의 조직풍토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리커트는 조직측성 프로 파일을 사용하였다. 조직특성은 지도성 과정, 동기력, 의사소통과정, 상호작 용영향과정, 의사결정과정, 목표설정, 통제과정, 성과목표 및 훈련 등 8가지 이다. 이 8개의 조직측성의 변인 또는 차원은 처벌적 권위주의체제(제1체제) 와 참가적 체제(제4체제)를 양극으로 하는 연속선상에 따라 각 조직의 프로파 일을 그릴 수 있다. 이들 각 변인의 하위내용을 좀 더 자세히 기술하면 다음 과 같다

(1) 지도성 과정

1.상자가 부하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신뢰와 신의를 가지고 있는가?
2.부하가 상시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신뢰와 신화를 가지고 있는 CD 상자가 부하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지원적 행동을 보이는가?
3.부하들이 자신의 직무와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를 자유롭게 논의할 수 있는가?
4.부하들이 자신의 직무와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를 자유롭게 논의할수 있도록 그 기회를 상사가 어느 정도 허용하는가? 5.직속상사가 직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부하들의 아이디 어와 의견을 받아들이고 이를 건설적으로 사용하는 정도는 어떠한가?

(2) 동기

① 사용되는 중요한 동기의 내용(경제적 욕구, 지위욕구, 교육구, 성취 욕 구등)은 무엇인가? 

② 동기가 사용되는 방식(위협, 처벌, 두려움, 참여, 보상 등)은 어떠한가?
③ 조직과 조직의 목적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4. 동료들끼리 서로 갈등을 일으키거나 상호 강화하는 정도는 어떠한가?
⑤ 조직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조직구성원들이 느끼는 책임의 정도는 어떠한가?
⑥ 조직의 다른 구성원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⑦ 만족은 어디서부터 유래하는가?(조직, 감독, 자기 자신의 성취 등)

(3) 의사소통과정

①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이 얼마나 많이 이루어지는가?
② 정보가 어떠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가?
③ 하향적 의사소통이 어느 계층에서 주도되며, 부하들에 의해서 어느 정도 의 의사소통이 수용되어지는가?

① 상향적 의사소통이 얼마나 적절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⑤ 수평적 의사소통이 얼마나 적절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⑤ 상사와 부하 간에 어느 정도의 친밀성이 유지되고 있는가?

(4) 상호작용 영향과정

① 상호작용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② 협동적 팀워크가 얼마나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③ 부하들이 단위부서의 목적 방법, 그리고 활동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
④ 상사가 단위부서의 목적, 방법 및 협동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하는가?

(5) 의사결정과정

① 조직의 어느 수준에서 의사결정이 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가?
② 의사결정을 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얼마나 적합하고 정확한가?
③ 의사결정자가 하위계층의 문제를 어느 정도나 알고 있는가?

④ 의사결정을 할 때 기술적 •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나 필요한가?
⑤ 의사결정이 조직 내의 가장 적절한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가?
⑥ 부하들이 자신의 과업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어느 정도나 참여하는가?

⑦ 의사결정이 집단으로 이루어지는가 아니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가? 그것이 팀워크를 손상시키는가 아니면 증진시키는가?

(6) 목표설정 또는 명령

① 명령이 시달되고, 목표가 설정되는 방식은 어떠한가?
② 계층수준이 서로 다른 부서에서 높은 성과를 얻기 위하여 어느 정도 노력 하는가?
③ 목표를 수용하고, 저항하며, 거부하는 세력이 있는가?

 

(7) 통제과정

① 조직 내의 어느 계층수준에서 통제기능의 수행과 관련해서 관심을 가지는가?
② 통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된 정보나 측정이 얼마나 정확하며 또
정보를 왜곡시키는 세력이 어느 정도나 존재하는가?

③ 점검과 통제기능을 어느 정도 집중화하는가?
④ 공식조직의 목적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비공식적 조직이 어느 정도나 존재하는가?
⑤ 회계, 비용, 생산성 등 통계자료가 자기 지도self-guidance나 집단문제 해결 에 어느 정도나 이용되는가?

(8) 성과목표의 훈련

① 상사가 기대하는 조직의 성과목표의 수준은 어떠한가? 

② 당신이 받은 경영훈련은 얼마나 되는가?
③ 당신 부하를 훈련시킬 때, 제공받는 훈련정보의 적합성은 어떠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