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개념은 직업을 선택하고 또 직장에서 직무를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주위사람들은 내가 나 자신에게 부여하는 가치만큼 나를 대우한다. 만일 내가 능력이 있다고 스스로 믿고 판단한다면 다른 사람들도 내가 생각하는것과 마찬가지로 나를 믿고 따르고 그렇게 대우할것이다. 직장내에서 보면 긍정적 자아개념을 가진 사람들은 조직에서 요구하는것 이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새로운 셩험을 하고 모르는 사람을 만나며 책임을 맡는데 있어 주저하지 않는다. 자기 사진을 수용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도 수용하고 서로의 차이점을 인정하며 서로의 사고와 감정을 공유하며 다른사람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조직의 생산성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부정적 자아개념을 가진 사람들은 조직 내에서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유는 그들은 업무를 솔선해서 주도적으로 수행하지 않으며 새로운 과제를 맡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질물하는 경우도 거의 없고 어떤 기술이나 절차를 습득하는데도 시간이 오래 걸린다. 다른 동료들과의 관계도 좋지 못하다. 자기 부정적인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본성에 대해서 비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으로부터 공격이나 모욕을 당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대 인간 갈등을 야기시키는 태도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자신감의 결핍은 동료들롭터 불친절한 것으로 잘못 인식되어질 수도 있다. 그들은 실수를 저지르고 또 그 이유로 무시당하는 것을 두려워 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지도 필요하다.
자아개념과 행동
어렸을때 주변사람들이 나에 대해서 하는 말을 수용하게 되면 그 말은 우리의 잠재의식이 각인된다. 이를 통해서 나의 정신적 자화상이 형성된다. 이 자화성은 나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잠재의식이 엄청난 창조적 능력을 나타낼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잠재의식 속의 내용을 통제함에 의해서 자신의 자아개념을 변화시킬수 있다. 이것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 목적을 위해서 이용될수 있다. 예를들어 어떤 사람이 자신을 실패자로 인식한다면 자신의 능력을 실패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데 사용할 것이다. 글래시는 이것을 실패증후군이라 명명한 바 있다. 성공을 위해서 아무리 열심히 일을 해도 나의 잠재의식이 실패에 대한 생각과 두려움으로 가득 차 있다면 내 스스로가 성공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는 셈이다. 이와는 반대로 나의 잠재의식이 의도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성공을 이끌수 있는 긍정적 사고로 충만 되어 있다면 여러가지 불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많은 장애물을 극볼해낼 수 있다. 신체적 외모 재능과 능력 가정배경 교육등이 성공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은 아니지만 내가 자 자신에 대해서 무엇을 믿고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핵심인것이다.
기대의 효력
때때로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은 기대로 표현 되기도 한다. 많은 행동주의자들은 자신에 대한 기대가 업무수행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동의한다. 예로 새로운 기술을 배울수 있다고 기대하면 그대로 이루어질 것이지만 배우지 못할 것으로 기대하면 그 기대가 현실로 나타날것이다
1.자기성취예언
이것은 자기 기대의 신비스러운 효력을 나타내는 말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생가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긍정적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아인식과 가려진 영역에 대한 생각 (0) | 2021.09.07 |
---|---|
자아인식과 개방 (0) | 2021.09.07 |
자아개념의 발달 (0) | 2021.09.05 |
고형제제 검사항목 (0) | 2021.09.01 |
위생측면의 무균제품 생산 (0) | 2021.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