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비교 이론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비교이론은 어떤 개인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 얼마나 공정학에서 대우를 받고 있다고 느기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진다. 공정성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사회적 관계를 평가할 때 다른 사람과의 비교하는 것이다. 공정성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사회적 관계를 평가할 때 다른 사람과의 비교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어느 개인이든 자기가 직무를 위해서 투자한 투입과 그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다른 개인의 그것들과 비교하게 된다. 만일 자신의 투입 대 결과의 비율이 다른 사람의 그것과 동일하다면 그는 공정하다고 느끼며 조직과도 공정한 교환체제가 이루어졌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만일 공정하지 못하다고 느끼게 되면 긴강이 유발되고 그 개인은 형평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여러 가지 노력을 하게 된다. 이때 비교대상은 자기 자신과 유사한 상황에 있는 사람이 된다. 투입 요인으로는 교육수준 경험 근무연한 근무성적 훈련 기술 사회적 지위 직무에 대한 노력 비용 시간 건강등이 포함될수 있다. 한편 성과요인으로는 봉급 부가혜택 승진 직무에 대한 내적보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열악한 근무조건 직무의 단조로움 기타 불만족 요인 등의 부적정적인 유인가를 가진 성과들도 있다. 개인이 지각하는 자신의 산출/투입 비율과 자기기 동등한 상황에 있는 준거대상의 불공정한 관계를 지각하게 되명 그러한 방향은 올바른것이다. 매우 시끄러운 소리가 집중에 방해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소음들 또한 경제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필연적인 것들이다.
투입의조정
준거대상과 비교하여 투입을 줄이거나 늘이거나 해서 균형을 이루려고 한다. 준거 대상에 비하여 과소보상을 받고 있다고 느기고 있으며 누력수준을 감소시킬 것이고 과대보상의 경우에는 노력을 증가시킬것이다.
투입이나 성과의왜곡
투입과 성과를 실직적으로 변경시키지 않고 단지 이들을 인지적으로 왜곡시켜 지각할 수도있다. 예컨대 그가 아니가 더 많으니까 등은 준거 대상의 투입요소에 가치를 더 부여함으로써 투입을 조정한다. 이와같은 왜곡은 자기 자신의 투입이나 성과에 대해서도 적용될수 있다. 예컨대 내가 담당하고 있는 직무가 더 중요하니까 또는 내가 업무처리능력이 누구보다도 뛰어나가 생각하니가 등이 해당된다.
준거대상의 변경
준거대상을 바꿈으로써 불공정성을 줄일 수 있다 .준거대상으르 비교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경우이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내 의사소통의 유형 (0) | 2021.09.24 |
---|---|
의사소통의 의의와 기능 (0) | 2021.09.24 |
로크의 목표이론 (0) | 2021.09.12 |
자기표현 행동의 유형에 따른 분류 (0) | 2021.09.08 |
적절한 자아개방 (0) | 2021.09.08 |